IMF 이후의 삼성의 구조조정과정과 이를 통한 대외경쟁력의 확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5 13:04
본문
Download : IMF 이후의 삼성의 구조조정과정과 이를 통한 대외경쟁력의 확보.hwp
레포트/경영경제
IMF이후의삼성의구조조정과정과이를통한대외경쟁력의확보 , IMF 이후의 삼성의 구조조정과정과 이를 통한 대외경쟁력의 확보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고용안정
·정리(整理) 해고 자제
- 구조조정에 앞서 고용조정대책 기금조성 등 완벽한 종업원 대책을 수립함으로 써 구조조정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 (타 그룹들에 비하여 파업 등의 노사분규 가 현저히 적은 수준)
위와 같은 여러 분야의 구조조정과 함께 가장 폭넓게 이루어진 부분이 바로 다운 사이징(Down - Sizing)이다.
재무부문의 구조조정 또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삼성은 여기서 수익성과 Cash Flow 중심의 경영체제를 확립한다는 목표(目標)아래 적자사업과 부진사업은 매각, 분사, 사업철수 등을 통해 정리(整理) 하였다.
이에 삼성은 수익률과 현금흐름위주의 경영으로 탄탄한 재무구조로의 變化를 실현해 나아가고자 했다.
이에 따라 총 차입금의 규모도 혁신적으로 줄어들어 97년 47조 7천억에 달하…(To be continued )
Download : IMF 이후의 삼성의 구조조정과정과 이를 통한 대외경쟁력의 확보.hwp( 22 )
IMF이후의삼성의구조조정과정과이를통한대외경쟁력의확보
순서
IMF 이후의 삼성의 구조조정과정과 이를 통한 대외경쟁력의 확보
다.
이 결과 97년 366%에 달하던 부채비율이 99년 166%, 2000년 124%로 낮아지며 선진국 수준의 부채비율을 달성하게 되었다.
이 당시의 총 차입금의 규모는 47조 7천 억 원으로써 기업의 경영으로 발생하는 이익의 상당부분이 금융비용으로 소요되는 상황이었다.
이 수치는 당시 5대 그룹 중 가장 낮은 수치로써 10대 재벌 그룹가운데 에서도 롯데 다음으로 건실한 자본구조를 가진 상태였다.
삼성은 우리 나라가 IMF관리 체제하에 들어가던 97년 366%의 부채비율을 기록하고있었다.
삼성SDS에서는 대형컴퓨터 유지관리 부서와 유니텔의 콜 센터를 독립시켰고,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컴퓨터그래픽과 전자출판을 담당하는 부서를, 무역 부문은 총무 부서를 독립회사로 분사시켰다.
이에 따라 한국 휴렛팩커드의 지분 45%를 합작 파트너인 미국 휴렛팩커드에 넘겼으며, 특히 무거운 부채에 허덕이고 있던 삼성중공업의 중장비 부문을 7억2천만 달러를 받고 스웨덴 볼보(VOLVO)사에 넘긴 것은 큰 성공example(사례) 로 꼽히고 있다아
이러한 자회사 매각이나 보유지분 양도 등의 형태이외에도 231개 사업을 분사시키거나 외주화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