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국 시대와 발해의 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22:45
본문
Download : 남북국 시대와 발해의 문학.hwp
발해의 서적과 기록이 많이 부족하고 단편적인 사료도 믿기 힘든 정황에서 정효공주묘비문의 출토는 발해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중대한 의의를 가진다. 묘비는 1980년 10월 화룡현 용수향 용해촌 용두산의 정효공주 묘에서 발견되었다.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남북국 시대와 발해의 문학.hwp( 38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정효공주묘비문은 한편의 전형적인 변려체 문장으로 비문에는 서(서)와 명(명)의 일정한 격식을 갖고 있따 서문은 공주 일생의 행장을 기술하고 있고 명문에서는 공주에 대한 칭송과 애도를 표시하고 있따 제1단락은 출신, 제2단락은 지혜로움과 아름다움, 제3단락은 출가, 제4단락은 수절, 제5단락은 장례, 제6단락은 애도로 되어 있따
특히 언어와 문자를 사용한 예술성이 매우 높다. 전편에 걸쳐 많은 곳에서 4자, 6자의 구절이 서로 교대로 나타나 …(drop)
발해문학09
남북국 시대의 상황과 발해의 문학작품에 대해 연구한 자료입니다.발해문학09 , 남북국 시대와 발해의 문학인문사회레포트 ,
남북국 시대와 발해의 문학
설명
남북국 시대의 상황과 발해의 문학작품에 대해 연구한 data(자료)입니다. <목 차>
Ⅰ. 남북국 시대의 상황과 문학
Ⅱ. 발해의 문학 작품
1. 시가(詩歌) 류재일, 「발해 한시의 작품 연구」, 『열상고전연구』 제9집, 열상고전연구회, 1996, pp5~29
2. 碑志 <정효공주묘지명병서> 방학봉, 『발해文化(문화)연구』, 理論(이론)과 실천, 1991, pp48~55
Ⅲ. 발해 유예의 문학 작품 류재일, 「발해 유예인의 한시 작품 연구」, 『열상고전연구』 제10집, 열상고전연구회, 1997, pp266~281
Ⅳ. 結論 - 발해 문학의 위치
2. 비지 <정효공주묘지명병서> 방학봉, 『발해文化(문화)연구』, 理論(이론)과 실천, 1991, pp48~55
정효공주는 발해 제 3대 문왕 대흠무의 넷째 딸이다. 기원 756년에 탄생하여 792년 36세를 일기로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