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교육활동의 목표와 내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06:48
본문
Download : 치료교육활동의 목표와 내용.hwp
21세게란 文化(문화)사적 전환기를 맞이하여 ‘인간주의, 통합교육, 그리고 질적교육’에 대한 교육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장애 극복 의지와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치료교육활동은 특수교육과定義(정의) 독자적 영 역으로 장애학생이 정상적 학습에 접근하는데 디딤돌과 같은 것으로, 이 영역은 언어훈련, 청능훈련, 물리적 훈련, 작업훈련, 감각·운동·지각훈련, 심리·행동·adaptation(적응) 훈련, 보행훈련, 일상생활훈련 등이 있는데, 영역별 교육目標(목표)와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 능
* 음의 지각 기능- ∙…(생략(省略))
Download : 치료교육활동의 목표와 내용.hwp( 75 )




영역별 교육목표와 내용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지체부자유아치료교육활동별목표와내용 , 치료교육활동의 목표와 내용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치료교육활동의 목표와 내용
다.
지체부자유아치료교육활동별목표와내용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영역별 교육목표와 내용에 대해서 설명(說明)했습니다.
-기 능
* 음의 감각·지각기능- ∙음 확인하기 ∙음 변별하기
* 음 확립의 기초기능 - ∙호흡하기 ∙조음기관 운동하기
* 음의 확립 기능 - ∙단어 확립하기 ∙문장 확립하기
* 음의 안정 기능 - ∙단일음 안정시키기 ∙무의미 음절 안정시키기 ∙단어 안정시키기 ∙문장 안정시키기 ∙담화 안정시키기
* 음의 전이 기능 - ∙익숙한 環境에서의 전이 ∙익숙치 못한 環境에서의 전이
* 음의 유지 기능- ∙자기말 유지하기 ∙담화 유지하기
2. 청능 훈련
-목 표
* 음을 수용하여 활용하는 능력을 신장시켜서 언어 수용을 원활히 함으로써 의사 소통을 풍부하게하여 일반교과의 성취와 사회·정서적 adaptation(적응) 을 도모한다.
Ⅱ. 본 론
1. 언어 치료
-목 표
* 언어가 인간의 삶에 차지하는 중요성을 이해하여 언어수행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며, 언어수행을 위한 언어의 제반 특징들을 이해하게 하고, 이를 상황과 장소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르게 하며, 나아가 학습의 도구로서의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설명
Ⅰ. 서 론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은 2000년 3월 1일부터 유치부와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