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실업시대의 사회안展望 확충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2 01:51
본문
Download : 대량실업시대의 사회안전망 확충방향.hwp
실업자에 대한 1차 사회안전망의 확충은 고용보험의 확충을 통해 사회안전망의 위로부터의 확대를(Top-Down), 2차 안전망은 저소득계층에 대한 공공부조program, 즉 생활보호제도의 확대(Base-Up)를 기초로 하고 공공근로사업 및 실업자직업훈련을 보완적 안전망으로 하여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해나가는데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 …(skip)






대량실업시대의 사회안展望 확충방향
IMF관리체제하에 시작된 저성장·고실업시대에 절실히 요구되는 사회안전망의 개념과 범위 및 유형, 실업구조와 현황, 사회안전망의 현황을 각각 살펴본 다음, 사회보장의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는 한계계층(저소득 실업자)까지 보호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의 확충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레포트/의약보건
순서
Download : 대량실업시대의 사회안전망 확충방향.hwp( 12 )
IMF관리체제하에 시작된 저성장·고실업시대에 절실히 요구되는 사회안展望의 정이 과 범위 및 유형, 실업구조와 현황, 사회안展望의 현황을 각각 살펴본 다음, 사회보장의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는 한계계층(저소득 실업자)까지 보호할 수 있는 사회안展望의 확충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 대량실업시대의 사회안전망 확충방향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설명
다. 노동시장정책을 전제로 공적부조(생활보호제도)를 최소한의 실업부조의 성격을 포함한 국민의 기초생활보장을 위한 일반적 공공부조제도로의 전환이 이뤄져야만 하겠다. 그러나 TypeⅡ유형을 채택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안전망의 사각지대가 넓어지기 때문에 직업훈련 및 고용안정사업, 공공근로사업 등과 같은 노동시장정책이 조직적으로 이뤄져야만 한다.
Ⅰ. 서 론
Ⅱ. 사회안전망의 槪念과 범위 및 유형
1. 사회안전망의 槪念
2. 사회안전망의 범위와 유형
Ⅲ. 실업구조와 실태
1. 실업구조
2. 실업률과 실업자 실태
Ⅳ. 사회안전망 실태
Ⅴ. 사회안전망의 확충방향
1. 고용보험의 적용확대 및 실업급여의 내실화
1) 고용보험의 적용확대를 통한 실업자 사회안전망의 포괄범위 확대
2) 실업급여 수급요건의 완화를 통한 실업급여 수혜비율의 확대
3) 장기실직자에 대한 연장급여의 지급
4) 훈련연장급여의 활성화
2. 공공근로사업의 내실화
1) `98년 공공근로사업의 평가
2) 내실화measure(방안)
3.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을 통한 생활보호제도의 획기적 改善
1) 생활보호제도 평가
2)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방향
4. 실업자 직업훈련의 내실화
1) `98년 실업자직업훈련의 평가
Ⅵ. 결 론
98년 실업자에 대한 사회안전망에 의해 공공근로 438천명, 직업훈련 363천명, 실업급여 441천명, 실직자대부 109천명, 저소득 실업자 생계보호 등 855천명이 각각 보호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98년과 `99년의 실업자보호 및 사회안전망`에 관련된 세부사업과 사업별 예산은 <표 8>과 같다.
Ⅴ. 사회안전망의 확충방향
실업자에 대한 사회안전망의 확충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경우 앞에서 논의한 TypeⅠ(실업급여→실업부조→공적부조)과 TypeⅡ(실업급여→연장실업급여→공적부조)중 현실적으로 TypeⅡ가 더욱 실현가능한 대안이다.